주식정보
주식 투자에서 스탑로스(Stop Loss) 전략의 의미와 장단점
주식투자OK
2024. 5. 30. 15:34
반응형
주식 투자에서 스탑로스 전략의 의미와 장단점
스탑로스란?
주식투자에서 스탑로스란 주가가 일정수준이하로 하락할때 자동으로 매도주문이 실행실켜 투자자의 손실을 제한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즉 스탑로스는 리스크 관리 도구로서 여러분의 투자목적과 스타일에 맞게 활용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스탑로스 장점
스탑로스는 주가가 하락할때 미리 설정한 가격에서 자동으로 매도주문을 넣기 때문에 추가 손실을 예방할수 있습니다. 게다가 스탑로스를 당할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매수할때도 신중하게 매매하게됩니다. 또한 손실을 잘라내기 때문에 물타기 유혹에서 벗어날수 있습니다.
스탑로스 단점
스탑로스는 일시적인 하락 이후 반등할경우 스탑로스로 인해 매도되어 수익낼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될수도 있으며 단기변동성이 큰종목에서 매매할떄 불필요한 매도를 하게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특히 가격을 잘못지정하여 원하지 않는 가격에서 매도할수도 있게됩니다.
스탑로스 활용전략
- 자신의 리스크 관리 능력과 매매스타일을 고려하여 적절한 손실한도를 설정하니다.
- 평균적으로 5~10%의 손절매를 추천드립니다.
- 매매종목의 변동성 폭에 따라 손절폭을 설정하는것도 좋습니다.
- 지나치게 짧은 손절폭은 불필요한 매도가 발생할수 있으니 시장상황에 맞게 폭을 맞추도록 합시다.
- 향후 주식의 움직임에 따라 스탑로스의 가격을 움직임에 맞춰 조절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함께 스탑로스 전략의 장점과 단점 활용전략등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는데요. 주식투자에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